본문 바로가기

면 요리

전통 옛날 짜장면 만드는 법과 짜장의 종류/Making Jajangmyeon

반응형

짜장면은 중국에서 넘어오긴 했지만 한국에서 재탄생된 중식입니다. 한국의 손맛이 들어간 짜장면은 한국에서만 먹을 수 있습니다. 짜장면의 종류와 전통 짜장면 만드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짜장면이란?

짜장면은 중국의 길거리 음식이었습니다.  중국 화교가 한국으로 넘어오면서 지금의 짜장면 형태가 탄생하고 한국에서 발전하며 국민 음식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70-80년대 졸업식이나 입학식, 생일 등 1년에 한 번 먹을 수 있었던 짜장면이 현재에는 한 끼 식사로 대중화되고 저렴하게 먹을 수 있는 음식이 되기까지 50년 가까이 우리 곁을 지키고 있는 짜장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짜장면

 

옛날 전통 짜장면 조리법.hwp
0.02MB

짜장면의 종류

4월 14일 블랙데이에 먹는 짜장면의 종류는 참 다양합니다. 원재료인 짜장을 제하고 들어가는 부재료의 종류에 따라 짜장면의 이름이 달라집니다. 맛있는 짜장면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전통 옛날 짜장

 전통 짜장면은 우리가 흔히 배달해서 먹고 있는 짜장면으로  짜장과 돼지고기, 감자와 양파를 주로 사용한 짜장면입니다.

2. 간짜장

간짜장은 양파가 듬뿍 들어간 짜장으로 즉석해서 짜장과 양파를 기름에 볶아서 바로 먹는 짜장으로 양파의 단맛이 좋은 짜장면입니다.

3. 삼선짜장

삼선짜장은 해물이 들어간 짜장면으로 보통 오징어, 새우, 해삼을 넣어서 짜장을 완성하는 고급 짜장면입니다.

4. 사천짜장

사천짜장은 두반장과 고추기름이 들어가서 매운 짜장면으로 느끼한 것을 싫어하는 분이라면 얼큰한 사천짜장을 추천합니다.

5. 유니짜장

소고기를 갈아서 볶아 넣은 짜장면으로 깊은 감칠맛을 느낄 수 있는 짜장면입니다.

6. 쟁반짜장

쟁반짜장은 돼지고기와 야채, 해산물을 큼직하게 썰어서 모든 재료를 듬뿍 넣고 볶다가 짜장을 넣고 끓여서 면과 함께 볶아서 내는 짜장입니다.

 

 

 

 

옛날 전통 짜장면 조리법 

짜장면은 일반적인 전통짜장면의 조리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준비 재료는 2인 기준의 재료와 양념을 준비했습니다. 4인 기준으로 준비를 원하시면 재료와 양념을 2배로 넣고 조리하시면 됩니다.

 

1. 준비 재료: 생면 2인분, 춘장 종이컵 기준 반컵, 식용유  1/3 컵, 녹말물( 녹말가루 2T,  물 2 섞어 준비), 다진 마늘, 다진 생강, 다진 파

2. 야채 준비: 감자, 양파, 돼지고기, 애호박, 버섯 등 깍둑썰기해서 준비

3. 양념: 식용유 2T, 맛술 2T, 진간장 1T, 설탕 1T, 물엿 1T,  후춧가루 조금, 물 2컵

 

《조리 순서 》

1. 식용유 1/3컵을 팬에 끓이다가 준비한 춘장을 넣고 1-2분 정도 섞으면서 볶아줍니다. 

2. 볶은 춘장은 체에 올려서 기름을 빼줍니다.

3. 식용유 2T(식용유 1T, 고추기름 1T)를 넣은 팬에 다진 마늘과 다진 파, 생강을 넣어 볶습니다. 마늘과 파, 생강향이 올라오면 양파와 돼지고기, 감자를 넣어 볶아줍니다.

4. 돼지고기와 감자가 반정도 익었을 때 감자, 애호박, 버섯 등 준비된 야채를 넣고 볶아 줍니다.

5. 어느 정도 익은 야채를 확인한 후  볶아 두었던 춘장과 맛술 2T, 진간장 1T, 설탕 1T, 물엿 1T,  후춧가루 조금을 넣어 간을 맞춥니다.

6. 간을 맞춘 후 물 2컵을 넣어 끓이다가 녹말물을 넣어서 춘장이 걸쭉해지면 불을 끕니다.

7. 끓는 물에 생면을 넣고 익으면 건져서 찬물에 씻어줍니다.

8. 물기가 빠진 생면에 춘장을 넣고 계란 프라이를 얻어주면 더 맛있게 짜장을 즐길 수 있습니다.

  

▶ 짜장이 느끼해서 못 드시는 분들은 식용유를 고추기름으로 대신하면 매콤하게 느끼함을 잡아 주기 때문에 짜장을 맛있게 즐길 수 있습니다.

반응형